몸도 마음도 항상 변하여 머물지 않으니 늘 새롭다. 금강반야바라밀경

또 須菩提(수보리)야, 菩薩(보살)이 法(법)에 대하여 마땅히 머물러 있는 生覺(생각) 없이 布施(보시)를 해야 하나니, 이른 바 色(색)에 머물지 않고 布施(보시)하며, 성․향․미․촉․法(법)에도 머무르지 않고 布施(보시)해야 하느니라.
須菩提(수보리)야, 菩薩(보살)은 이렇게 布施(보시)를 行(행)하여 相(상)에 머물지 않아야 되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만일 菩薩(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布施(보시)하면, 그 福德(복덕)을 헤아릴 수 없느니라.
須菩提(수보리)야, 네 生覺(생각)에 어떠하냐? 동쪽에 있는 虛空(허공)을 生覺(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겠는가?
못하옵니다. 世尊(세존)이시여.
須菩提(수보리)야 남쪽․서쪽․북쪽과 네 간방과 위 아래에 있는 虛空(허공)을 生覺(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하옵니다. 世尊(세존)이시여.
須菩提(수보리)야 菩薩(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布施(보시)하는 功德(공덕)도 그와 같아서 生覺(생각)하여 헤아릴 수 없느니라.
須菩提(수보리)야. 菩薩(보살) 摩訶薩(마하살)은 이렇게 가르쳐 준 대로만 머물지니라.
妙行無住分 第 四
復次須菩提야 菩薩은 於法에 應無所住하야 行於布施니 所謂不住色布施며 不主聲香味觸法布施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應如是布施하야 不住於相이니 何以故오 若菩薩이 不住相布施하면 其福德은 不可思量이니라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東方虛空을 可思量不아 不也니라 世尊하 須菩提야 南西北方四維上下虛空을 可思量不아 不也니다 世尊하 須菩提야 菩薩의 無住相布施福德이 亦復如是하야 不可思量이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但應如所敎住니라
須菩提(수보리)야, 네 生覺(생각)에 어떠하냐? 身相(신상)으로써 如來(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못하옵니다. 世尊(세존)이시여!
身相(신상)으로써 如來(여래)를 볼 수는 없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如來(여래)께서 身相(신상)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은 身相(신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須菩提(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온갖 상은
모두가 虛妄(허망)하니
상아 상 아닌 줄 알면
바로 如來(여래)를 보리라.
如理實見分 第五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可以身相으로 見 如來不아 不也니다 世尊하 不可以身相으로 得見如來니 何以故오 如來所說身相이 卽非身相이니다 佛告 須菩提하사되 凡所有相은 皆是虛妄이라 若見諸相非相이면 則見如來니라
'금강경해석(월운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한 마디 받아 지녀서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 주면 끝없는 하늘의 축복이 내리네. 금강경 (0) | 2023.10.23 |
---|---|
언어는 약속이며 약속은 옥상으로 오르는 계단이며 생각의 폭과 깊이를 넓혀주네. 금강경 (0) | 2023.10.22 |
물질적인 베품에 마음의 평화 흘러 넘치고 사랑의 말 한 마디로 하늘을 울린다. 금강경 (0) | 2023.10.21 |
계율이라는 배를 타고 흐르는 물에 마음 오래 머물지 않으면 봄 바람이 불어오네. 금강반야바라밀경 (0) | 2023.10.20 |
정신건강을 위한 2500년 전의 지혜 : 언어의 형상에 생각이 머무르면 새장의 새가될 수 있다. 금강경 (1) | 2023.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