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모든 것이 변화된 다는 것을 알아 마음에 품으면 마음의 평화 흘러 들어오네. 금강경

須菩提(수보리)야, 어떤 善男子(선남자)나 善女人(선여인)이 아침 나절에 恒河沙(항하사) 수 같은 몸으로 布施(보시)하고, 점심 나절에도 恒河沙(항하사) 수 같은 몸으로 布施(보시)하고, 저녁 나절에도 恒河沙(항하사) 수 같은 몸으로 布施(보시)하여 이렇게 限量(한량)없는 百千萬劫(백천만겁) 동안 布施(보시)하더라도 다른 사람이 이 經典(경전)을 듣고 믿는 마음으로 그르다고 하지만 않아도 그 福(복)이 저 布施(보시)한 福(복)보다 더 많거늘 하물며 이 經(경)을 쓰고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에게 일러 주기까지 함이겠느냐?
須菩提(수보리)야, 중요한 뜻만 들어서 말하건대 이 經(경)에는 말할 수 없고 生覺(생각)할 수 없고 측량할 수도 없는 많은 功德(공덕)이 있나니, 如來(여래)는 大乘(대승)의 마음을 낸 이를 爲(위)하여 이 經(경)을 말했으며 가장 높은 마음을 낸 이를 爲(위)하여 이 經(경)을 말했느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이 經典(경전)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여러 사람들에게 일러 주면 如來(여래)가 이 사람을 다 알고 보나니, 모두가 限量(한량)없고 말할 수 없고 끝 없고 生覺(생각)할 수 없는 功德(공덕)을 이루리니, 이런 사람은 如來(여래)의 阿耨多羅三藐三菩提(아뇩다라삼막삼보리)를 堪當(감당)할 것이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須菩提(수보리)야! 小乘法(소승법)을 좋아하는 이는 我相(아상)․人相(인상)․衆生相(중생상)․壽者相(수자상)의 所見(소견)에 執着(집착)되므로 이 經(경)을 듣지도 못하고 읽고 외우지도 못하고 남에게 일러주지도 못하기 때문이니라.
須菩提(수보리)야! 어디에나 이 經(경)이 있으면 온갖 하늘사람․ 世上(세상)사람․ 阿修羅(아수라)들이 供養(공양)을 올리리니, 이곳은 곧 부처님의 塔(탑)과 같으므로 모두가 恭敬(공경)히 禮拜(예배) 돌면서 꽃과 향으로 그 곳에 흩느니라.
持經功德分 第十五
須菩提야 若有善男子善女人이 初日分에 以恒河沙等身으로 布施하며 中日分에 復以恒河沙等身으로 布施하며 後日分에 亦以恒河沙等身으로 布施하야 如是無量百千萬億劫을 以身布施어든 若復有人이 聞此經典하고 信心不逆하면 其福이 勝彼하리니 何況書寫受持讀誦하야 爲人解說이 須菩提야 以要言之컨댄 是經이 有不可思議不可稱量無邊功德하니 如來가 爲發大乘者說이며 爲發最上乘者說이니라 何以故오 須菩提야 若樂小法者는 著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일새 則於此經에 不能聽受讀誦하야 爲人解說하리라 須菩提야 在在處處에 若有此經하면 一切世間天人阿修羅의 所應供養이니 當知此處는 卽爲是塔이라 皆應恭敬作禮圍繞하야 以諸華香으로 而散其處하리라
'금강경해석(월운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상적인 이름을 넘어서 그 실체를 생각하면 그 이름은 아침 안개와 같네. 금강경 (1) | 2023.10.28 |
---|---|
고운 말의 향기 듣는 이의 마음을 평온하게하여 내 마음 고요하네. 금강경 (1) | 2023.10.27 |
열린 마음으로 다가가 사람 사물을 보면 새로운 세계를 볼 수 있네. 금강경 (0) | 2023.10.25 |
경험과 학습으로 만들어진 자신에 대한 이미지에서 벗어나면 발거름이 가볍네. 금강경 (1) | 2023.10.24 |
금강경 한 마디 받아 지녀서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 주면 끝없는 하늘의 축복이 내리네. 금강경 (0) | 202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