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에 뜻을 두면 악을 행하는 일은 없다. 논어 이인편 1 2 3 4
논어 里仁편
<1>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마을이 서로 사랑함이
아름다우니,
어진 곳을 골라서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고 하셨다.
子曰里仁(자왈리인)
爲美(위미)
擇不處仁(택불처인)
焉得知(언득지)
<2>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어질지 아니한 자는
그 때문에 곤궁함을 오래 견디지 못하고
즐거움도 오래 누리지 못한다.
어진 사람은
어짐에 편안하고
지혜로운 자는
어진 것을 이롭게 여긴다.“고 하셨다.
子曰不仁者(자왈불인자)
不可以久處約(불가이구처약)
不可以長處樂(불가이장처락)
仁者(인자)
安仁(안인)
知者(지자)
利仁(리인)
<3>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오직 어진 자라야
사람을 좋아할 수 있고
사람을 미워할 수도 있다.“고 하셨다.
子曰唯仁者(자왈유인자)
能好人(능호인)
能惡人(능악인)
<4>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진실로 인에 뜻을 두면
악을 행하는 일을 하지 않을 것이다.“고 하셨다
子曰苟志於仁矣(자왈구지어인의)
無惡也(무악야)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익만을 추구하면 원망이 많아진다. 논어 이인편 9 10 11 12 (0) | 2020.02.18 |
---|---|
사랑은 급할 때에도 역경에서도 버려서는 안된다. 논어 이인편 5 6 7 8 (0) | 2020.02.15 |
음악은 가락이 합하여 조화를 이루면서 분명하고 연속되어야 한다. 논어 팔무편 23 24 25 26 (0) | 2020.02.13 |
지나간 일은 탓하지 말라. 논어 팔무편 20 21 22 (0) | 2020.02.12 |
각국마다 문화의 차이로 예가 다르다. 논어 팔무편 15 16 17 18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