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 입장에 생각하면 종종 마음을 다스려 어둠이 사라진다. 법구경
배롱나무 목백일홍
제17장 분노품(忿怒品)
옛날에 한 왕이 있었는데 기러기 고기를 매우 좋아 하였다. 항상 사냥꾼을 시켜그물로 기러기를 잡아 날마다 한 마리씩 밥상에 올리게 하였다.
그 즈음 기러기의 왕이 오백마리의 떼를 거느리고 먹이를 찾아 내려왔다가 그물에 걸렸다. 기러기 떼들은 놀라 공중을 멤돌면서 떠나지 않았다. 그 중 한 마리는 화살도 두려워 않고 피를 토해 슬피 울며 밤낮을 쉬지 않았다. 사냥꾼은 그의리를 불쌍히 여겨 기러기 왕을 풀어주었다. 기러기 떼들은 기뻐서 기러기
왕을 싸고 돌았다. 사냥꾼은 이 사실을 왕에게 자세히 알렸다. 왕도 매우 느낀 바있어 그 뒤로는 기러기를 잡지 않았다.
부처님은 아사세 왕에게 말씀하셨다.
"그 때의 그 기러기의 왕은 나요, 그 한 마리의 기러기는 아난이요, 오백마리의 기러기 떼는 오백나항이요, 그 왕은 지금의 아사세 왕이요, 그 사냥꾼은 지금의 조달이다. 저 조달은 전세 때부터 항상 나를 해치려 하지마는 나는 큰 자비의 힘으로써 그 원악을 생각하지 않았으므로 내 자신 부처가 되었다."
【221】
捨恚離慢 避諸愛貪 不著名色 無爲滅苦
사에리만 피제애탐 불저명색 무위멸고
분하고 성내는 마음으로 법을 보지 못하고
분하고 성내는 마음으로 도를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분노를 잘 버리는 사람
복과 기쁨 언제나 그 몸을 따르네
【222】
恚能自制 如止奔車 是爲善御 棄冥入明
에능자제 여지분거 시위선어 기명입명
성내는 마음을 스스로 다스려
달리는 수레를 멈추듯 하면
그는 자기를 훌륭히 다스리는 사람
어둠을 버리고 밝음으로 들어가리
【223】
忍辱勝恚 善勝不善 勝者能施 至誠勝欺
인욕승에 선승불선 승자능시 지성승기
욕됨을 참아서 성냄을 이기고
선으로 선하지 않은 것을 이기라
이기는 사람은 잘 보시하고
지극한 정성은 속임을 이긴다.
【224】
不欺不怒 意不求多 如是三事 死則生天
불기불노 의불구다 여시삼사 사칙생천
속이지 않기, 성내지 않기
마음으로 많이 구하지 않기
이러한 세 가지 일을 법답게 행하면
죽은 뒤에 천상에 태어나리라
【225】
常自攝身 慈心不殺 是生天上 到彼無憂
상자섭신 자심불살 시생천상 도피무우
항상 몸을 스스로 거두어 잡아
자비로운 마음으로 죽이지 않으면
그는 천상에 태어나리라
거기 가서도 근심이 없으리라
【226】
意常覺寤 明暮勤學 漏盡意解 可致泥洹
의상각오 명모근학 누진의해 가치니원
뜻은 언제나 밝게 깨어 있고
밤낮 없이 부지런히 공부하면
번뇌가 없어지고 뜻이 풀리어
스스로 열반을 이룰 수 있으리
【227】
人相毁謗 自古至今 旣毁多言
인상훼방 자고지금 기훼다언
又毁訥忍 亦毁中和 世無不毁
우훼눌인 역훼중화 세무불훼
옛날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은 언제나 헐뜯고 비방하니
말이 많은 것 헐뜯는가 하면
말이 적어도 또한 헐뜯는다.
그렇지 않아도 또한 헐뜯어
세상에는 헐뜯지 않는 일이 없다.
Posted by 최 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