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장 내가 몸이 없는데 이르르면 내가 무슨 걱정이 있겠는가. 노자

 

寵辱若驚(총욕약경

화순군 도곡면

), 貴大患若身(귀대환약신). 何謂寵辱若驚(하위총욕약경)? 寵爲下(총위하), 得之若驚(득지약경), 失之若驚(실지약경), 是謂寵辱若驚(시위총욕약경). 何謂貴大患若身(하위귀대환약신)? 吾所以有大患者(오소이유대환자), 爲吾有身(위오유신). 及吾無身(급오무신), 吾有何患(오유하환)! 故貴以身爲天下(고귀이신위천하), 若可寄天下(약가기천하); 愛以身爲天下(애이신위천하), 若可託天下(약가탁천하).

 

  총애를 받으나 욕을 당하나 놀란듯이 하라. 큰 걱정을 귀히 여김을 내 몸 같이하라. 총애를 받으나 욕을 당하나 놀란듯이 하라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사랑은 욕이되니 그것을 얻어도 놀란듯이하고 그것을 잃어도 놀란듯이 하라. 이것을 사랑을 받으나 욕되나 놀란듯이 하라고 이르는 것이다. 큰 걱정을 귀히 여기기를 내 몸같이 하라는 말은 무엇을 일컫음인가? 내가 걱정이 있는 까닭은? 내가 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몸이 없는데 이르르면 내가 무슨 걱정이 있겠는가? 고로 자기 몸을 귀하게 여기는 것처럼 천하를 귀하게 여기는 자에게 비로소 천하를 맡길 있는 것이다.

 

14 장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고 잡아도 잡히지 않는 것이 앞을 비추네. 노자

視之不見(시지불견), 名曰夷(명왈이). 天地不聞(천지불문), 名曰希(명왈희). 搏之不得(박지불득), 名曰微(명왈미). 此三者(차삼자), 不可致詰故混而爲一(불가치힐고혼이위일). 其上不曒(기상불,其下不昧(기하불매). 繩繩不可名(승승불가명), 復歸於無物(복귀어무물). 是謂無狀之狀(시위무상지상), 無物之象(무물지상). 是謂惚恍(시위홀황). 迎之不見其首(영지불견기수), 隨之不見其後(수지불견기후). 執古之道(집고지도), 以御今之有(이어금지유), 能知古始(능지고시), 是謂道紀(시위도기).

 

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 말하고, 들어도 들리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 이른다. 쥐어도 얻어지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 이른다. 이 세개의 것은 캐물음을 이룰 수 없다. 그러므로 혼합하여 하나로 삼는다. 그 위는 밝지 아니하고 그 아래는 어둡지 아니한다. 이어지고 이어지는 데 이름 지울 없다. 다시 만물이 없는 곳으로 돌아간다. 이것을 모습 없는 모습이라 이르고 물이 없는 상이라 한다. 이것을 황홀하다 이른다. 앞에서 그것을 맞이해도 그머리를 볼 수 없고 뒤에서 그것을 따라가도 뒤가 보이지 않는다. 옛도를 잡아 오늘의 있음을 다스린다. 능히 시작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도의 실마리라 이른다.

Posted by 최 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