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장 두려워하고 손님 같으며 서서히 맑아지며 안정되고 오래가며 움직여 생동하게 한다. 노자

여수 돌산 향일암

古之善爲士者(지선위사자), 微妙玄通(미묘현통), 深不可識(심불가식), 夫唯不可識(부유불가식), 故强爲之容(고강위지용). 豫焉(예언), 若冬涉川(약동섭천)

猶兮(유혜), 若畏四隣(약외사린). 儼兮(엄혜), 其若客(기약객), 渙兮(환혜), 若氷之將釋(약빙지장석). 敦兮(돈혜), 其若樸(기약박), 曠兮(광혜), 其若谷(기약곡)

混兮(혼혜),其若獨孰能濁以靜之徐淸(기약독숙능탁이정지서청) 孰能安以久(숙능안이구),動之徐生(동지서생) 保此道者不欲盈(보차도자불욕영).夫唯不盈(부유불영), 故能蔽不新成(고능폐불신성)

 

  옛날의 훌륭하게 선비된 자는 세미하고 묘하며 현묘하고 통하여 그 깊이가 남이 없다. 대저 오로지 알 수 없기에 고로 억지로 그 모습을 만든다. 사전에 미리 대비하는 도다. 겨울에 내를 건너는 것 같다. 머뭇거리네. 사방에 이웃을 두려워 하는 것 같도다. 근엄하다. 그것이 손님과 같다. 흩어지도다. 얼음이 장차 풀리는 것 같다. 두껍도다. 그것이 통나무 같다. 텅 비었구나. 그것이 계곡과 같다. 섞였구나. 그것이 흐린 물과 같다. 누가 능히 흐리면서도 깨끗이 하여 서서히 맑아지겠는가. 누가 능히 자신을 안정시켜 오래가며 그것을 움직여 서서히 생동하게 할 수 있겠는가. 이 도를 보전하는 자는 채우려하지 않는다. 대저 오로지 채우려 하지 않기에 고로 능히 덮어 보호할 뿐 새로이 이루지 않는다.

 

16 장  서녘을 바라보며 항상됨을 알아 포용하고 공평하여 하늘의 법칙을 깨닫는다. 노자

 

致虛極(치허극), 守靜篤(수정독). 萬物竝作(만물병작), 吾以觀復(오이관복). 夫物芸芸(부물운운), 各復歸其根(각복귀기근). 歸根曰靜(귀근왈정), 是謂復命復命曰常(시위복명복명왈상), 知常曰明(지상왈명). 不知常(불지상), 妄作凶(망작흉). 知常容(지상용), 容乃公(용내공). 公乃王(공내왕),王乃天(왕내천), 天乃道(천내도), 道乃久(도내구), 沒身不殆(몰신불태).

 

  빔에 이르기를 지극하게 하고 고요함을 지키기를 도독하게 하라. 만물이 함께 흥기하는데 나는 이미 돌아감을 본다. 대저 만물은 번성하지만 각기 근본에 다시 돌아간다. 근본에 돌아감을 고요함이라 이르고, 이것을 천명으로 돌아간다고 이른다. 천명으로 돌아감을 항상됨이라 이른다. 항상됨을 아는 것을 밝음이라 한다. 항상됨을 알지 못하면 망령되이 흉을 짓는다. 항상됨을 알면 포용하게 되고, 포용하게 되면 공평해지고 공평함은 왕도이니 왕도는 하늘의 법칙이다. 하늘의 법칙은 바로 도이니 도에 맞으면 오래갈 있다. 내용을 다하도록 위태롭지 않다.

Posted by 최 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