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19장 수행자는 오늘날의 존재가 어떤 인연들의 조화임에 마음속 깊이 간직한다. 중용

공자 말씀하시길 무왕과 주공은 그 지극한 효를 실천한 사람이다.
효라는 것은 부모의 뜻을 잘 잇는 것이고 선조의 일을 잘 계승하는 것이다.
봄과 가을에는 조상 사당을 잘 닦고 제사 그릇을 진열하고 선조의 옷을 펴놓고 제철의 음식을 올린다.
종묘의 예는 소목(음식위치)의 순서를 잘 지키기 위해 있는 것이고,
작위에 따라 순서대로 함은 귀천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제사를 돕는 집사에 순서를 두는 것은 현명한 사람을 구별하기 위해 그렇고
제사 후 술을 권함에 아랫사람들이 먼저 하도록 해 주는 것은 모두에게도 복이 미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제사 후 잔치에 머리나 수염이 센 사람을 구별하는 것은 나이 많은 사람을 우선하기 위해서다.
그 자리에 걸맞는 처신하며 제대로 걸맞는 예를 행하고 걸맞는 음악을 연주하며 그 존경할 만한 점을 공경하며 그 가까움을 애틋해하며 죽은 이도 살아 생전 섬기듯 하고 비록 같이 못해도 계신듯 섬기면 그게 효의 지극한 모습이다.
죽음을 섬기기를 삶을 섬기는 것처럼 하고, 없는 이 섬기기를 생존한 이 섬기는 것처럼 하는 것이 효의 지극함이다.
교사(야외의식)는 하느님을 섬기는 방법이요, 종묘의 예란 그 선조를 기리는 방법이다.
하늘을 섬길줄 알고 조상을 기리는 의리가 있으면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손바닥 들여다보는 것과 같을 것이다.(쉽다)
농경문화에서 생존을 위한 필수 적인 것은 자연의 흐름을 많은 시간과 경험을 통해서 아는 것이다. 시간과 경험 때문에 연장자를 우대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나이 순으로 질서가 생기고, 편리상 사회 조직이 생겨났다. 사냥 문화에서는 경륜도 중요하지만 더 순발력있고 강인한 체력을 더 중요시 했다. 생존을 위한 바탕으로 문화가 형성된 것을 생각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고전을 읽으면 이해가 쉽고 또한 흥미가 더해 진다.
(중용 19장)
子曰:「武王、周公,其達孝矣乎。(자왈 무왕 주공 기달효의호)
夫孝者,善繼人之志,善述人之事者也。(부효자 선계인지지 선술인지사자야)
春秋,脩其祖廟,陳其宗器,設其裳衣,薦其時食。(춘추 수기조묘 진기종기 설기상의 천기시식)
宗廟之禮,所以序昭穆也。(종묘지례 소이서소목야)
序爵,所以辨貴賤也。(서작 소이변귀천야)
序事,所以辨賢也。(서사 소이변현야)
旅酬下爲上,所以逮賤也。燕毛所以序齒也。(려수하위상 소이체천야 연모 소이서치야)
踐其位,行其禮,奏其樂,敬其所尊,愛其所親,(천기위 행기례 주기악 경기소존 애기소친)
事死如事生,事亡如事存,孝之至也。(사사여사생 사망여사존 효지지야)
郊社之禮,所以事上帝也。(교사지례 소이사상제야)
宗廟之禮,所以祀乎其先也。(종묘지례 소이사호기선야)
明乎郊社之禮,禘嘗之義,治國其如示諸掌乎。」(명호교사지례 체상지의 치국기여시저장호)
<직역>
공자 말씀하시길(子曰) 무왕(武王)과 주공(周公)은 그(其) 통달(達)한 효(孝)이로다(矣乎)
대저(夫) 효라는 것(孝者)은 사람의 뜻(人之志)를 잘(善) 잇(繼)고 사람의 일(人之事)을 잘(善) 계승하는(述) 것이다(者也)
봄가을(春秋)에 그(其) 조상의 사당(祖廟)을 닦(脩)고 그(其) 종묘의 그릇(宗器)을 진열(陳)하고 그(其) 치마와 옷(裳衣)을 설치(設)하고 그 제철 음식(其時食)을 올린다(薦)
종묘의 예(宗廟之禮)는 소목(昭穆)의 순서를 세우(序)기 위함(所以)이다(也)
작위(爵)를 차례대로 함(序)은 귀하고 천함(貴賤)을 분별(辨)하기 위함(所以)이다(也)
집사(事)를 차례지움(序)은 현명한 사람을 분별(辨賢)하기 위함(所以)이다(也)
함께(旅) 술을 권함(酬)에 아래(下)를 먼저 함(爲上)은 천함(賤)에 미치(逮)도록 하기 위함(所以)이다(也)
잔치(燕)에 머리털(毛)은 나이(齒) 순서(序)를 위함(所以)이다(也)
그의 지위(其位)를 밟고(踐) 그의 예법(其禮)을 행하고(行) 그의 음악(其樂)을 연주(奏)하고 그(其)의 존중하는 바(所尊)를 공경하고(敬) 그가 친하게 여기는 것(其所親)을 사랑(愛)하라
살아있는 사람을 섬기(事生)는 것처럼(如) 돌아가신 분을 섬겨라(事死)
존재하는 것을 섬기(事存)듯(如) 존재하지 않는 분을 섬겨라(事亡). 효의 지극함(孝之至)이다(也)
교제사와 사제사(郊社)의(之) 예(禮)는 상제를 섬기(事上帝)기 위한 까닭(所以)이다(也)
종묘의 예(宗廟之禮)는 그 선조(其先)에 대해(乎) 제사(祀)하기 위함(所以)이다(也)
교사의 예(郊社之禮)와 여름 제사(禘)와 가을제사(嘗)의(之) 예법(義)에(乎) 밝으면(明) 나라를 다스림(治國)은 아마(其) 그것을 손바닥에(諸掌) 보이는(示)것과 같(如)다(乎)
<한자>
達(통달할 달) - 통달하다, 통하다, 현달하다, 능숙하다
述(펼 술) _ 펴다, 서술하다, 계승하다, 따르다, 전술하다
脩(포 수) - 포, 육포, 닦다, 수양하다, 마르다, 멀다
薦(천거할 천) - 천거하다, 드리다, 올리다, 늘어놓다, 자리 깔개
所以(소이) : 까닭, 이유, 방법, 따라서, 그러므로
序(차례 서) : 차례, 실마리, 펴다, 차례를 매기다, 따르다
昭穆(소목) : 사당에 신주를 모시는 차례, 昭는 왼쪽 줄 신주, 穆은 오른쪽 줄 신주
昭(밝을 소) : 밝다, 밝히다, 비추다, 뚜렷하다
穆(화목할 목) : 화목하다, 아름답다, 온화하다
辨(분별할 변) : 분별하다, 밝히다, 따져 다스리다, 변론하다
旅酬(려수) : 제사가 끝나고 함께 술을 권하는 일
旅(나그네 려) : 여행하다, 나그네, 함께, 무리, 군대
酬(갚을 수) : 보답하다, 갚다, 술을 권하다, 보수
逮(미칠 체) : 다다르다, 미치다, 쫓다, 잡다
燕(제비 연) : 제비, 연나라, 잔치, 편안하다
其(그 기) : 그, 그것, 만약, 아마도, 이에, 마땅히
乎(어조사 호) : ~인가? ~구나, ~에, ~에서, ~보다, 이여
諸(모든 제) : 모든, 여러, ~는, 이, 이에, ~에, ~에게서, ~이여,
之於(~에 그것)의 줄임말
郊(들 교) : 들, 야외, 근교, 천지의 제사
社(모일 사) : 모이다, 제사지내다, 땅귀신, 토지신
禘(제사 체) : 제사, 여름 제사, 종묘제사(천자가 정월에 남쪽 교외에서 지내는 제사)
嘗(맛볼 상) : 맛보다, 경험하다, 가을제사, 일찍이, 이전에
The Master said, "How far-extending was the filial piety of King Wu and the duke of Chau! " Now filial piety is seen in the skillful carrying out of the wishes of our forefathers, and the skillful carrying forward of their undertakings. " In spring and autumn, they repaired and beautified the temple halls of their fathers, set forth their ancestral vessels, displayed their various robes, and presented the offerings of the several seasons.
"By means of the ceremonies of the ancestral temple, they distinguished the royal kindred according to their order of descent. By ordering the parties present according to their rank, they distinguished the more noble and the less. By the arrangement of the services, they made a distinction of talents and worth. In the ceremony of general pledging, the inferiors presented the cup to their superiors, and thus something was given the lowest to do. At the concluding feast, places were given according to the hair, and thus was made the distinction of years.]
"They occupied the places of their forefathers, practiced their ceremonies, and performed their music. They reverenced those whom they honored, and loved those whom they regarded with affection. Thus they served the dead as they would have served them alive; they served the departed as they would have served them had they been continued among them.
"By the ceremonies of the sacrifices to Heaven and Earth they served God, and by the ceremonies of the ancestral temple they sacrificed to their ancestors. He who understands the ceremonies of the sacrifices to Heaven and Earth, and the meaning of the several sacrifices to ancestors, would find the government of a kingdom as easy as to look into his palm!"
filial piety 자식으로 효
carrying out 이행, 수행.
forefather 조상
undertakings 사업
repair 수리하다
beautify 아름답게 가꾸다
set forth 진열하다
vessel 용기, 그릇
display 펼쳐놓다
various robes 다양한 옷들
present 제공하다
offerings 제공품
ceremony 의식
ancestral 조상의
distinguish 구별하다
royal kindred 왕족
accroding to -에 따라서
order 순서
descent 후손
ordering the party 참석 의식참석의 순서을 정함
rank 지위
arrangement 순서, 정리
service 의식행위
worth 가치있음
general pledging 일반적 술 권하는 행위
inferior 어린사람
superior 웃 사람
the lowest 신분이 가장 낮은 사람
practice 행하다
reverence 존경하다
honor 존경하다
regard 간주하다
affection 애정
serve 대접하다
the dead 죽은 사람
the departed 죽은 사람
sacrifice 희생
ancestor 조상
government 정부
look into 조사하다
palm 손 바닥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행자는 미리 준비하여 마음의 출렁임이 잠시만 머물게한다. 중용 (1) | 2024.01.06 |
---|---|
수행자는 세상과 함께하기 위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실천하며 겸손하다. 중용 (1) | 2024.01.05 |
수행자는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하여 눈을 감지도 않고 우리에 가두지도 않는다. 중용 (2) | 2024.01.03 |
수행자는 본능을 확장하여 하늘의 숨소리와 함께하려 공공의 선으로 향한다. (2) | 2024.01.02 |
수행자는 생활의 안정이 가야할 먼 길의 시작점이라는 것을 알고 있네. 중용 (2) | 202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