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는 주변과 함께하려 기쁜 분노 슬픔 즐거움에 머물지 않아도 변화의 움직임에 반응한다. 주역. 수지비
watching changing
8-4-2. ䷇比(비): ䷇水地比(수지비) 六二(육이)
六二(육이)는 比之自內(비지자내)니 貞(정)하야 吉(길)토다
六二(육이)는 돕는데 안으로부터 스스로 도우니 바르게 해야 吉(길)토다.
象曰(상왈) 比之自內(비지자내)는 不自失也(불자실야)-라
象曰(상왈) 比之自內(비지자내)는 자신의 돕는 道(도)를 잃지 않는 것이라.
六二(육이)는 陰爻(음효)로서 陰(음)의 자리에 있으니 자리가 바르고 下卦(하괘) 중앙에 있으니 中(중)의 덕을 가진다. 즉 유순하고 중정의 덕을 가지며 九五(구오)와 應(응)하고 있는 이상적인 陰爻(음효)이다. 比之自內(비지자내)의 之(지)는 六二(육이)와 친한 九五(구오)를 말한다. 自內(자내)의 內(내)는 六二(육이)가 內卦(내괘)에 있음으로 안으로부터 라고 하였다. 이것은 마음 안에 柔順中正(유순중정)의 덕을 가진 것을 뜻하는 말이다. 六二(육이)는 內卦(내괘) 즉 下卦(하괘)에 있고 마음에 유순중정의 덕을 가지며 九五(구오)와 서로 應(응)하고 있으니 比卦(비괘)의 이상적인 爻(효)이다. 六二(육이)는 신하로서 유순중정한 이상적인 사람이며 바른 길을 굳게 지키고 있음으로 吉(길)하다. 來知德(래지덕)은 夏 시대에 伊尹(이윤)이 처음 미천한 자리에 있으면서 堯舜(요순)의 道를 즐기고 있었는데 뒤에 殷(은)나라 湯王(탕왕)의 신임을 받은 것은 이 爻에 해당된다고 한다. 象曰(상왈) 比之自內(비지자내)는 不自失也(불자실야)-라. 六二爻(육이효)가 內卦(내괘)에 있으면서 柔順中正(유순중정)한 道(도)를 지키며 外卦(외괘)에 있는 九二(구이) 천자와 서로 응하고 친할 수 있는 것은 스스로 바른 길을 잃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吉(길)하며 福(복) 을 얻게 되는 것이다.
䷇比(비): ䷇水地比(수지비) 六二(육이):比之自內(비지자내),貞吉(정길)。
Bi:
In the second SIX, divided, we see the movement towards union and attachment proceeding from the inward (mind). With firm correctness there will be good fortune.
象傳(상전): 比之自內(비지자내),不自失也(불자실야)。
Xiang Zhuan:
'The movement towards union and attachment proceeds from the inward (mind):' - (the party concerned) does not fail in what is proper to him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