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는 서둘러 판단을 하지 않고 비운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기에 허물이 많지 않다. 주역
10-1. 天澤履(천택리) : 初九(초구)는 素履(소리)로 往(왕)하면 无咎(무구)-리라
初九(초구)는 본래 밟은 곳으로 가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素履之往(소리지왕)은 獨行願也(독행원야)-라
象曰(상왈) 素履之往(소리지왕)은 홀로 行(행)함을 원함이라
① 素 '본디 소', '본디', '바탕', '희다’
② 獨 '홀로 독', '홀로', '외롭다’
③ 願 '원할 원', '원하다', '바라다'
素(소)는 ‘흰색 소’이다. 누에의 고치에서 나오는 실은 희다. 이것을 염색하면 여러 가지 색이 나온다. 素(소)는 염색하지 않은 그대로의 색이다. 여기서 가공 변화하지 않은 본래 그대로의 것을 素(소)라고 한다. 素履(소리)는 조금도 가공하지 않은 본래 그대로의 깨끗하고 맑은 마음으로 자기 할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初九(초구)는 陽爻(양효)로써 陽(양)의 자리에 있으니, 자리가 바르고 뜻이 바르다. 九四(구사)와 相應(상응)하지 못하며, 九二(구이)와도 相比(상비)하지 못한다. 初九(초구)는 孤立(고립)되어 있는 爻(효)로써 아무에게도 속박 당하지 않는 낮은 신분이지만, 본시 그대로 조금도 꾸미지 않고 천진난만한 淸淨(청정)한 마음으로 자기 할 일을 한다. 그러므로 잘못이 없게 된다.
“象曰(상왈) 素履之往(소리지왕)은 獨行願也(독행원야)라”, 初九(초구)가 조금도 꾸미지 않는 순진한 마음으로 자기 할 일을 하고 나아가는 것은 자기 홀로 자기가 원하고 바라던 일을 하는 것이다.
䷉履(리):天澤履(천택리) 初九(초구):素履(소리),往无咎(왕무구)。
Lu:
The first NINE, undivided, shows its subject treading his accustomed path. If he go forward, there will be no error.
象傳(상전):素履之往(소리지왕),獨行愿也(독행원야)。
Xiang Zhuan:
'He treads his accustomed path and goes forward:' - singly and exclusively he carries out his (long-cherished) wishes.
수행자는 순간 순간의 행동이 자신과 상대방에게 해가 되지 않으므로 스치는 바람이 된다. 주역
天澤履(천택리) : 履虎尾(리호미)라도 不咥人(불질인)이라 亨(형)하니라
호랑이 꼬리를 밟더라도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니라.
① 履 '밟을 리', '밟다', '신다’
② 虎 '범 호', '호랑이(虎狼이)', '용맹하다’
③ 尾 '꼬리 미', '교미하다’
④ 咥 ‘웃을 희’, ‘웃을 질’, ‘깨물 절’
“履虎尾(리호미)라도 不咥人(부질인)이라 亨(형)하니라”, 履(리)는 卦名(괘명)이면서 동시에 동사로 사용하여 履卦(리괘)는 “범의 꼬리를 밟아도 사람을 물지 않는다.”로 읽는다. 범은 剛强(강강)한 猛獸(맹수)이다. 乾卦(건괘)는 순수한 陽(양)으로 극히 强(강)한 卦(괘)이다. 그러므로 乾卦(건괘)를 범으로 한다. 上九(상구)는 범의 머리가 되고, 九五(구오)는 범의 몸이 되고, 九四(구사)는 범의 꼬리가 된다.
이 卦(괘)는 아래의 兌卦(태괘)가 위의 乾卦(건괘)의 뒤를 밟고 따라간다. 그러므로 履虎尾(리호미)라 하였다. 이것은 대단히 겁나는 일이며 위험하고 어려운 일이다.
“不咥人(부질인)이라 亨(형)하니라”, 범의 꼬리를 밟고 따라가는 사람이 범에 물리지 않는다. 이 卦(괘)는 兌卦(태괘)의 和說(화열)의 德(덕)이 있음으로 虎食(호식)을 免(면)하고, 어려운 위험을 극복하고 그의 뜻이 통하게 되는 것이다. 이 卦(괘)는 주로 兌卦(태괘)의 和說(화열)의 德(덕)과 乾卦(건괘)의 剛健(강건)의 德(덕)으로 위험을 免(면)하고 그의 뜻이 크게 通(통)하게 되는 것이다.
彖辭(단사)
天澤履(천택리) : 彖曰(단왈) 履(리)는 柔履剛也(유리강야)-니
彖曰(단왈) 履(리)는 柔(유)가 剛(강)을 밟는 것이니
說而應乎乾(설이응호건)이라
희열을 가지고 하늘에 應(응)함이라
是以履虎尾不咥人亨(시이리호미불질인형)이라
是以履虎尾不咥人亨(시이리호미부질인형)이라
剛中正(강중정)으로 履帝位(리제위)하야
剛(강)이 中正(중정)으로 帝(제)의 자리를 따르니
而不疚(이불구)-면 光明也(광명야)-라
병들지 않으면 光明(광명)이 있으리라.
① 說 '말씀 설', '달랠 세', ‘벗을 탈’, 여기서는 ‘기뻐할 열’로 사용
② 疚 ‘고질병 구’
彖辭(단사)에서 “履(리)는 柔履剛也(유리강야)라”, 履卦(리괘)는 아래에 있는 柔弱(유약)한 兌卦(태괘)가 위에 있는 剛强(강강)한 乾卦(건괘)의 뒤를 밟고 따라가는 것이다. 즉 약한 사람이 강한 사람의 뒤를 따라가는 것이다. 작은 사람이 큰 사람의 뒤를 따라가고, 또 작은 사업을 하는 사람이 큰 사업을 성취하려는 등 대단히 어렵고 위험한 일들이다.
“說而應乎乾(열이응호건)이라”, 기꺼이 乾(건)에 應(응)한다. 說(열)은 悅(‘기쁠 열’)과 같은 뜻으로 兌卦(태괘)의 德(덕)이다. 이 글은 兌卦(태괘)와 乾卦(건괘)의 관계를 말한다. 兌卦(태괘)가 기꺼이 乾卦(건괘)에 應(응)하며, 작은 사람이 부드럽고 기쁘게 큰 사람의 뒤를 따라가는 것이며, 신하가 기꺼이 군주의 부름을 따르는 것이며, 큰 사업의 뒤를 따라가면서 어떤 고난이 있어도 실망하지 않고, 비관하지 않으며, 항상 즐겁고 기쁘게 그 일을 履行(이행)한다. 이것이 說而應乎乾(열이응호건)이다.
履卦(리괘)는 작고 약한 것이 크고 강한 것의 뒤를 쫒아가는 것임으로 정말 위험하고 곤란한 일이지만, 기쁘고 즐겁고 부드럽게 큰 사람을 섬기며 큰일에 종사함으로 범의 꼬리를 밟고 범의 뒤를 따라가는 것과 같이 위험하고 곤란한 일이지만, 범에게 물리지 않고 禍(화)를 免(면)하면 뜻이 通(통)하게 된다. 兌卦(태괘)의 和說(화열)의 德(덕)은 대단히 큰 것이다.
“剛中正(강중정)으로 履帝位(리제위)하야 而不疚(이부질)이면 光明也(광명야)라”, 이것은 九五(구오)효의 德(덕)을 찬탄한 글이다. 九五(구오)는 剛健(강건)한 道德才能(도덕재능)을 가지며, 또 過不足(과부족)이 없는 中(중)의 德(덕)과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正(정)의 德(덕)을 가지며, 天子(천자)의 자리에 앉아 하늘에 대해서도 부끄럽지 않고 국민에 대해서도 꺼릴 것이 없으니 그의 德(덕)의 빛은 널리 천하에 빛난다.
이 彖辭(단사)의 앞부분은 주로 下卦(하괘) 兌卦(태괘)의 德(덕)을 말하고, 뒤는 上卦(상괘) 乾卦(건괘)의 德(덕)을 말한다. 즉 履卦(리괘)는 兌卦(태괘)의 和說(화열)의 德(덕)과 剛健(강건)의 德(덕)이 있음으로 큰 것을 따라가는 道(도)가 잘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卦(괘)의 成卦(성괘)의 主爻(주효)는 六三(육삼)이다. 主卦(주괘)의 主爻(주효)는 九五(구오)이다. 卦(괘)를 이루는 成卦(성괘)의 主爻(주효)와 卦(괘)가 이루어진 다음에 주인이 되는 主卦(주괘)의 主爻(주효)가 하나일 경우도 있고, 이 卦(괘)와 같이 두 爻(효)일 때도 많다. 그리고 成卦(성괘)의 主爻(주효)를 설명하는 경우는 많지만, 主卦(주괘)의 主爻(주효)를 설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象辭(상사)
天澤履(천택리) : 象曰(상왈) 上天下澤(상천하택)이 履(리)니
象辭(상사)는 위는 하늘이 있고 아래에는 못이 있는 것이 履(리)이니
君子-以하야 辯上下하야 定民志하나니라
군자가 이것을 본받아 上下(상하)가 분별되어 있으니 백성이 뜻을 정하게 함이니라.
① 辯 '말씀 변', '말씀', '말을 잘하다', 辨(‘분별할 변’)과 同字(동자)
八卦(팔괘)중에서 가장 높은 것이 天(천)이요, 가장 낮은 것이 澤(택)이다. 이 卦(괘)에서는 높은 하늘이 위에 있고, 낮은 못이 아래에 있다. 上下(상하) 貴賤(귀천)이 각각 그가 있어야 할 자리에 있다. 이것이 履卦(리괘)의 象(상)이다. 君子(군자)는 이 履卦(리괘)의 象(상)을 보고 禮儀(예의)를 定(정)하고, 上下(상하)의 신분을 구별하여 국민의 뜻을 안정시켰다. 즉 禮(예)로써 질서가 정해진 것이다.
《䷉履 - Lu》
䷉履(리):天澤履(천택리) 履虎尾(리호미),不咥人(불질인),亨(형)。
Lu:
(Lu suggests the idea of) one treading on the tail of a tiger, which does not bite him. There will be progress and success.
In Lu we have (the symbol of) weakness treading on (that of) strength. (The lower trigram) indicates pleasure and satisfaction, and responds to (the upper) indicating strength. Hence (it is said), 'He treads on the tail of a tiger, which does not bite him; there will be progress and success.' (The fifth line is) strong, in the centre, and in its correct place. (Its subject) occupies the God-(given) position, and falls into no distress or failure; - (his) action will be brilliant.
象傳(상전):上天下澤(상천하택),履(리);君子以辨上下(군자이변상하),安民志(안민지)。
Xiang Zhuan:
(The trigram representing) the sky above, and below it (that representing the waters of) a marsh, form Lu. The superior man, in accordance with this, discriminates between high and low, and gives settlement to the aims of the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