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는 물질세계와 정신세계에서 서두르지 않고 step by step으로 그들의 세계를 그려나간다.주역
䷈ 風天小畜(풍천소축): 9-4-2.
九二(구이)는 牽復(견복)이니 吉(길)하니라
九二(구이)는 회복을 이끄니 吉(길)하니라
象曰(상왈) 牽復(견복)은 在中(재중)이라 亦不自失也(역불자실야)-라
象曰(상왈) 牽復(견복)은 中(중)에 있고, 또한 스스로 잃지 않는 것이라
① 牽 ‘이끌 견’
② 亦 ‘또 역’
九二(구이)효는 陽爻(양효)로써 陰(음)의 자리에 있으니, 바른 자리가 아니다. 그러나 下卦(하괘)의 중앙에 있어 中庸(중용)의 德(덕)을 가지며 함부로 나아가지 않는다. 六四(육사)와 서로 應(응)하고 있음으로 六四(육사)의 바른 뜻을 알고, 陽爻(양효)의 나아가려는 성질을 버리고 자기 자리로 돌아가 가만히 머물러 있다. 위의 九三(구삼)은 六四(육사)에 막혀 나아가지 않는다.
九二(구이)는 中庸(중용)의 德(덕)을 가짐으로 함부로 나아가지 않으며 同類(동류)인 初九(초구)와 九三(구삼)을 데리고 돌아가 中(중)의 德(덕)을 지키고 있음으로 吉(길)을 얻는다.
“象曰(상왈) 牽復(견복)은 在中(재중)이라 亦不自失也(역불자실야)라”, 九二(구이)는 同類(동류)를 데리고 자기 자리로 돌아가 中(중)의 德(덕)을 지키고 있다. 이것도 또한 자기가 지킬 正道(정도)를 잃지 않음으로 吉(길)을 얻는다. 亦(역)이라 한 것은 앞에 初九(초구)가 正道(정도)를 잃지 않았는데, 九二(구이)도 또한 잃지 않았다는 뜻이다.
䷈ 風天小畜(풍천소축): 九二(구이):牽復(견복),吉(길)。
Xiao Xu:
The second NINE, undivided, shows its subject, by the attraction (of the former line), returning (to the proper course). There will be good fortune.
象傳(상전):牽復在中(견복재중),亦不自失也(역불자실야)。
Xiang Zhuan:
'By the attraction (of the subject of the former line) he returns (to its own course),' and is in the central place: - neither will he err in what is due from him.
수행자는 작은 것들과 큰 것들은 상대적이라는 것을 알아 비교하지 않고 조화를 추구한다. 주역
䷈ 風天小畜(풍천소축):9-4-1.
初九(초구)는 復(복)이 自道(자도)-어니 何其咎(하기구)-리오 吉(길)하니라
初九(초구) 道(도)로부터 회복함이니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길하리라.
象曰(상왈) 復自道(복자도)는 其義吉也(기의길야)-라
象曰(상왈) 復自道(복자도)는 그 뜻이 吉(길)함이라
① 復 ‘회복할 복’, ‘다시 부’
② 何 ‘어찌 하’
初九(초구)는 陽爻(양효)로써 陽(양)의 자리에 있으니, 자리가 바르고 따라서 뜻이 바르다. 下卦(하괘)의 아래에 있으니 中(중)을 얻지 못했다. 위의 六四(육사)와 서로 應(응)하고 있다. 六四(육사)는 바른 자리에 있으며, 上下(상하)의 다섯 양효(양효)를 붙들고 있다. 陰爻(음효)가 陽爻(양효)를 붙들고 있는 것은 좋은 일은 아니지만, 때로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일도 있다.
臣下(신하)가 君主(군주)의 惡德(악덕)을 막으려 하고, 자식이 어버이의 잘못을 바로 잡으려 하고, 부인이 남편의 나쁜 버릇을 고치려 하는 것은 小畜(소축), 즉 陰(음)으로서 陽(양)을 붙들고 작은 것이 큰 것을 머물게 하는 일이다. 작은 것이 바른 길을 지키고 큰 것이 道(도)를 벗어났을 때, 이것을 막는 것이 바른 길이다. 그러나 간사한 신하가 바른 군주를 잘못 인도하는 것과 부정한 아내가 정당한 남편을 막는 것과 같은 것은 작은 것이 큰 것을 막는 小畜(소축)으로써 잘못된 경우이다.
小畜(소축)은 陰(음)의 小人(소인)이 陽(양)의 大人(대인)를 막는 것임으로 옛사람들은 나쁜 것으로 생각해 왔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陽(양)도 剛强(강강)한 惡人(악인), 혹은 善人(선인)이 있고, 陰(음)도 柔順(유순)한 善人(선인)도 있고 간사한 惡人(악인)도 있다.
初九(초구)는 자리가 바르고 뜻이 바른 陽爻(양효)이며, 六四(육사)의 陰爻(음효)와 서로 應(응)하여, 六四(육사)의 바른 것을 이해하고 있음으로 六四(육사)의 만류를 받아들여 자기 자리로 돌아가 나아가지 않고 머물고 있다. 이것은 작은 陰爻(음효)의 방해로 나아가지 못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正道(정도)에 順從(순종)하는 것임으로 아무런 잘못도 없고 吉(길)하며 福(복)을 얻게 된다. 그러므로 復(복)이 自道(자도)라 道(도)에 따라 돌아감으로 아무 잘못도 없고 吉(길)하게 된다. 이 爻(효)는 地雷復(지뢰복)괘의 初九(초구) 爻辭(효사)인 “不遠復(불원복)이라 无祉悔(무지해)니 元吉(원길)하니라”와 비슷하다.
“象曰(상왈) 復自道(복자도)는 其義吉也(기의길야)라”, 初九(초구)가 陽爻(양효)로써 나아가려는 본래의 성질을 버리고, 바른 길을 따라 자기 자리에 머물러 있게 되니 그의 義(의)로서 吉(길)함을 얻게 된다.
䷈ 風天小畜(풍천소축):初九(초구):復自道(복자도),何其咎(하기구),吉(길)。
Xiao Xu:
The first NINE, undivided, shows its subject returning and pursuing his own course. What mistake should he fall into? There will be good fortune.
象傳(상전):復自道(복자도),其義吉也(기의길야)。
Xiang Zhuan:
'He returns and pursues his own path:' - it is right that there should be good fortu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