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十四. 한 아름의 큰 나무도 털끝만 한 작은 싹에서 시작되니 미세한 것을 잘 살펴야 한다. 노자
其安易持(기안이지), 其未兆易謀(기미조이모), 其脆易泮(기취이반), 其微易散(기미이산). 爲之於未有(위지어미유), 治之於未亂(치지어미난). 含抱之木(함포지목), 生於毫末(생어호말), 九層之臺(구층지대), 起於累土(기어누토), 千里之行(천리지행), 始於足下(시어족하). 爲者敗之(위자패지), 執者失之(집자실지). 是以聖人無爲故無敗(시이성인무위고무패), 無執故無失(무집고무실). 民之從事(민지종사), 常於幾成而敗之(상어기성이패지). 愼終如始(신종여시), 則無敗事(칙무패사). 是以聖人欲不欲(시이성인욕불욕), 不貴難得之貨(불귀난득지화), 學不學(학불학), 復衆人之所過(복중인지소과), 以輔萬物之自然而不敢爲(이보만물지자연이불감위).
편안할 때 위태로운 것을 조심하면 유지하기가 쉽고 아직 징조가 나타나기 전에 미리 대책을 세우면 계획하기가 쉽다. 단단하지 못한 것은 깨트려지기 쉽고 미세한 것은 흩어져 버리기 쉽다. 아직 아무 일도 없을 때 처리하고 어지러워지기 전에 다스려야 한다. 한 아름의 큰 나무도 털끝만 한 작은 싹에서 시작되고 구층의 높은 누각도 한줌의 흙을 여러 번 쌓는데서 시작되며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된다. 인위적으로 행하는 자는 실패할 것이고 인위적으로 잡으려는 자는 놓치게 된다. 그런 까닭에 성인은 무위로 행하므로 잃지 않는다. 사람들이 하는 일은 항상 거의 다 되어가다 실패한다. 시작할 때와 같이 끝맺음도 신중히 하라. 그러면 실패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그런 까닭에 성인은 욕심이 없고 얻기 어려운 보물을 소중히 여기지 않으며 세상 사람들이 배우지 않는 것을 배워서 여러 사람들의 잘못을 회복한다. 그리하여 자연 만물을 도울 뿐 감히 행하지 않는다.
六十五. 공평하고 넓은 사랑으로 나아가는 사람은 몸 생활 마음이 건강하게 된다. 노자
古之善爲道者(고지선위도자), 非以明民(비이명민), 將以愚之(장이우지). 民之難治(민지난치), 以其智多(이기지다). 故以智治國(고이지치국), 國之賊(국지적), 不以智治國(불이지치국), 國之福(국지복). 知此兩者(지차양자), 亦稽式(역계식), 常知稽式(상지계식). 是謂玄德(시위현덕). 玄德深矣(현덕심의), 遠矣(원의), 與物反矣(여물반의), 然後乃至大順(연후내지대순).
옛날에 도를 잘 터득한 사람은 백성들이 분별심을 내게 하지 않고 장차 백성들을 순박하게 만들려고 하였다. 백성들을 다스리기 어려운 것은 그들에게 꾀하려는 생각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라를 잔꾀로 다스리면 나라에 해가 있을 것이고 잔꾀로 나라를 다스리지 않는다면 나라에 복이 있을 것이다. 이 두 가지는 역시 법칙임을 알아야 한다. 항상 이 법칙을 아는 것을 현덕이라 한다. 현덕은 심오하고 멀어서 세속과는 반대이다. 그런 연후에야 대순에 들어갈 수 있다
'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력을 쓰지 않고, 화내지 않고, 맞붙지 않으며 항상 자기 몸을 낮춘다. 노자 (0) | 2023.12.15 |
---|---|
가장 아래에 있기에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고 다투지 않고 방해되지 않는다. 노자 (0) | 2023.12.14 |
가장 존귀한 것은 스스로 만든 마음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마음의 짐을 더는 것이다. 노자 (1) | 2023.12.12 |
보이지 않는 힘은 스스로 있게하면 서로를 도우며 상생하도록 한다. 노자 (1) | 2023.12.11 |
사람들을 귀하게 여기고 하늘에 감사하면 주변을 사람들의 거울이 되어 그 향기는 멀리 퍼져나간다. 노자 (1)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