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十章 보이지 않는 힘은 스스로가 있게하면 서로를 도우며 상생하도록 한다. 노자

治大國(치대국), 若烹小鮮(약팽소선), 以道(이도) 天下(천하), 其鬼不神(기귀불신), 非其鬼不神(비기귀불신), 其神不傷人(기신불상인), 非其神不傷人(비기신불상인), 聖人亦不傷人(성인역불상인), 夫兩不相傷(부양불상상), 故德交歸焉(고덕교귀언).
대국을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 도로 세상을 다스리면 귀신도 신령한 힘을 나타내지 못한다. 귀신이 신령한 힘을 내지 못하기 보다는 위력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귀신이 위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사람을 해치지 않을 뿐더러 성인도 역시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 양쪽이 서로를 해치지 않으므로 그 덕을 서로에게 돌린다.
六十一章 대국이나 소국 모두 겸손하고 낮추어 함께하면 서로에게 유익하다. 노자
大國者下流(대국자하류), 天下之交(천하지교), 天下之牝(천하지빈), 牝常以靜勝牡(빈상이정승모), 以靜爲下(이정위하), 故大國以下小國(고대국이하소국), 則取小國(칙취소국), 小國以下大國(소국이하대국), 則取大國(칙취대국), 故或下以取(고혹하이취), 或下而取(혹하이취), 大國不過欲兼畜人(대국불과욕겸축인), 小國不過欲入事人(소국불과욕입사인), 夫兩者各得其所欲(부양자각득기소욕), 大者宜爲下(대자의위하).
대국은 하류이며 천하 만물이 만나는 곳이니, 천하의 빈이다. 빈은 항상 고요한 것으로써 무에 이기고, 고요한 것으로써 겸하한다. 그러므로 대국이 소국에 겸하하면 곧 소국을 취하고, 소국이 대국에 겸하하면 곧 대국을 취한다. 그러므로 혹은 겸하하여 취하기도 하고, 혹은 아래에 처하므로 취하기도 한다. 대국은 백성을 겸양하려는 것이고, 소국은 큰 데 들어가 남을 섬기려는 것이니, 대저 양자가 각각 그 원하는 바를 얻으려 하면, 대국이 마땅히 겸하해야 한다.
'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아름의 큰 나무도 털끝만 한 작은 싹에서 시작되니 미세한 것을 잘 살펴야 한다. 노자 (0) | 2023.12.13 |
---|---|
가장 존귀한 것은 스스로 만든 마음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마음의 짐을 더는 것이다. 노자 (1) | 2023.12.12 |
사람들을 귀하게 여기고 하늘에 감사하면 주변을 사람들의 거울이 되어 그 향기는 멀리 퍼져나간다. 노자 (1) | 2023.12.10 |
수행자는 지난 날의 학습에서 자유롭고 이로움, 해로움, 귀함과 천함에서도 자유롭다. 노자 (0) | 2023.12.09 |
스스로 빛나며 함께 빛나고 있으니 내 몸 뿐만 아니라 나라 천하에 어두운 곳이 없다. 노자 (1) | 202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