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는 세상에 감사하여 사랑을 주고 세상에 마음의 문을 열어 배우고 익힌다. 주역

04-1. ䷃蒙(): 卦辭(괘사) ()()하니 匪我(비아)-求童蒙(구동몽)이라

 

()亨通(형통)하니, 내가 童蒙(동몽)에게 ()하는 것이 아니라

童蒙(동몽)求我(구아)-

童蒙(동몽)이 나에게 ()하는 것이니

初筮(초서)-어든 ()하고

첫 점을 칠 때 알려주고

再三(재삼)이면 ()이라

두 번 세 번 하면 더럽히는 것이라,

瀆則不告(독칙불고)이니 利貞(이정)하니라

더럽힘 즉 알려주지 않으니 바르게 지키면 이롭게 하니라.

 

나 아

아이 동’, 幼也, 어리석을(無知)

점 서’, 점칠, 점대

뵙고 청할 곡/’, ‘알릴 고’, 여쭐(白也), 하소연할(請也), 고소할(訴也)

두 재’, 두 번(兩也), 거듭(重也), 다시(更也)

더럽힐 독’, 도랑(溝也)

어릴 몽’, 어리석을(愚昧)

'비적 비', '비적(匪賊)', '아니다'

 

()()이라, ()()한다. 사람이 나서 어릴 때는 蒙昧(몽매)하며, 지식, 지혜가 밝지 못하다. 그러나 배워 익히면 지식과 지혜가 밝아지고, ()이 쌓이게 된다. 그러므로 ()은 반드시 성장 발전한다. 이것이 蒙亨(몽형)이다.

 

匪我求童蒙(비아구동몽)이라 童蒙(동몽)求我(구아)”, 어진 童蒙(동몽)이 배워서 길을 알기 위해서는 지능을 계발하도록 교육하는 스승이 있어야 한다. 그 스승을 ()라고 하였다. 童蒙(동몽)은 가르침을 받는 사람이다. 주로 九二(구이)효를 ()라고 하고, 六五(육오)童蒙(동몽)이라 생각한다. 童蒙(동몽)이 가르침을 받고 싶다고 원하지도 않는데, 스승이 나아가서 가르치는 법은 없다. 童蒙(동몽)이 가르침을 원할 때에 비로소 가르친다. 그것이 匪我求童蒙(비아구동몽)이라 童蒙(동몽)求我(구아)”이다.

 

初筮(초서)어든 ()하고 再三(재삼)이면 ()이라 瀆則不告(독즉불고)이니 利貞(리정)하니라”, 童蒙(동몽)이 참마음으로 가르침을 원할 때는 가르쳐준다. 이것이 初筮告(초서곡)이다. ()는 점치는데 사용하는 筮竹(서죽)을 말한다. 처음 진심으로 점을 치면, ()吉凶禍福(길흉화복)을 일러준다. 그러나 의심하여 두 번 세 번 점을 치면 ()을 모독하고 자기 자신을 모독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吉凶禍福(길흉화복)을 일러주지 않는다.

 

童蒙(동몽)이 순수한 참마음으로 열심히 가르침을 받고 싶어 하면, 스승은 이를 가르친다. 그러나 만약 童蒙(동몽)에게 순수한 참마음이 없고, 의심을 품고서 가르침을 받으려 하면 그것은 ()를 모독하고, 자신을 모독하는 것이 됨으로 가르치지 않는다.

 

利貞(리정)이라. 스승이 학생을 가르치는 것과 학생이 선생한테 배우는 것이 모두 바른 길을 굳게 지키는 것이 좋다.

 

䷃蒙(): ()()匪我求童蒙(비아구동몽)童蒙求我(동몽구아)初筮告(초서고)再三瀆(재삼독)瀆則不告(독칙불고)利貞(이정)

Meng:

Meng (indicates that in the case which it presupposes) there will be progress and success. I do not (go and) seek the youthful and inexperienced, but he comes and seeks me. When he shows (the sincerity that marks) the first recourse to divination, I instruct him. If he apply a second and third time, that is troublesome; and I do not instruct the troublesome. There will be advantage in being firm and correct.

 

 

Posted by 최 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