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없으면 사물에 집착도 없다. 채근담후편 91~95




091. 白氏云,󰡔不如放身心冥然任天造󰡕,

백씨운, 불여방신심, 명연임천조

 

晁氏云,󰡔不如收身心凝然歸寂定󰡕。

조씨운 불여수신심, 으연귀적정.

 

放者流爲猖狂收者入於枯寂

방자, 류위창왕. 수자, 입어고적.

 

唯善操身心的杷柄在手收放自如

유선조신심적, 파병재수, 수방자여.

 

백낙천은 말하기를 

몸과 마음을 놓아 버린 다음 

눈감고 되는 대로 맡기는 것만 못하다 하였고

조선생 말하기를 

몸과 마음을 거두어서 움직이지 않고 

정적으로 돌아감만 못하다 하였으되

놓아 버리면 흘러넘어져서 미치광이처럼 되고

거두어 두면 메마른 적막함에 들어갈 뿐이로다

오직 몸과 마음을 가누자면 

자루를 손에 쥐고서 거두고 놓음을 

마음대로 해야 것이니라.

 

 

092. 當雪夜月天心境便爾澄徹遇春風和氣意界亦自冲融

당설야월천, 심경변이징철. 우춘풍화기, 의개역자충융.

 

造化人心混合無間

조화인심, 혼합무간.

 

내린 밤에 밝은 하늘을 대하면 

마음이 문득 맑아지고

봄바람 온화한 기운을 만나면 

뜻이 또한 저절로 부드러워지니

자연의 조화와 사람의 마음이 한데 어울려 간격이 없도다.

 

 

093. 文以拙進道以拙成一拙字有無限意味

문이졸진, 도이졸성. 일졸자, 유무한의미.

 

如桃源犬吠, 桑間鷄鳴何等淳龐?

여조원견폐, 상간계명, 하등순룡.

 

至於寒潭之月, 古木之鴉工巧中便覺有衰颯氣象矣

지어한담지월, 고목지아, 공교중, 변각유쇠삽기상의.

 

글은 서툴러 보임으로써 나아지고 

도는 졸서투름으로써 이루어지니

서툴다는 자에 무한한 뜻이 있다.

만약 복사꽃 마을에 개가 짖고

뽕나무 사이에 닭이 운다 하면 

얼마나 순박한가

그러나 차가운 연못에 달이 밝고 

고목에 까마귀 운다 데에 이르면

비록 교묘하기는 하지만 

문득 쓸쓸한 기상이 있음을 느끼게 뿐이니라.

 

 

094. 以我轉物者得固不喜失亦不憂大地盡屬逍遙

이아전물자, 득고불희. 실역불우, 대지진속소요.

 

以物役我者逆固生憎順亦生愛一毛便生纏縛

이물역아자, 역고생증, 순역생애, 일모변생전박.

 

내가 사물을 부리는 사람은 얻어도 기뻐하지 않고 

잃어도 또한 근심하지 않으니 

대지가 모두 그의 노니는 곳이다

물건으로써 나를 부리는 사람은 역경을 미워하고 

순경에 애착을 가지니 

털끝만한 일에도 얽매이느니라.

 

 

095. 理寂則事寂遺事執理者似去影留形

이적즉사적. 견사집리자, 사거영류형.

 

心空則境空去境存心者如聚羶却蚋

심공즉경공. 거경존심자, 여취전각예.

 

본체가 없으면 현상도 없으니

현상을 버리고 본체를 잡는 것은 

그림자를 없애고 형체만 머무르려 함과 같고

마음이 없으면 외물도 없으니

외물을 없애고 마음만 보존하려는 것은 

비린 것을 모아 놓고 

쉬파리를 쫓으려는 것과 같으니라.

 

Posted by 최 샘
,